긱블 Geekble
긱블 Geekble
  • 777
  • 644 846 822
이론상 우주의 속도까지 빨라진다는 기어... 진짜 될까? (음속을 돌파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ㄷㄷ)
어케했누?ㄷㄷ
-
참고영상 👉 ua-cam.com/video/snibXSbefUI/v-deo.html
나모's 연구 데이터 👉 geekbleofficial.notion.site/157daee14b24405fb6be619537be3627?pvs=4
-
📗긱블 만화책 '긱블 제작소' 출간🛠️
괴짜 천재들의 과학 공학 학습 만화!
과학 원리를 활용해 쉽고 재미있게 과학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YES24 : bit.ly/48N7Owd
•교보문고 : bit.ly/3u8c6iK
•영풍문고 : bit.ly/3OgiKdM
•알라딘 : bit.ly/3OfOShy
-
🍀 긱블 커뮤니티 👉 bit.ly/Geekble_Community
📷 긱블 인스타그램 👉 bit.ly/Geekble_Insta
Переглядів: 746 156

Відео

직접만든 배 타고 강건너 치킨 배달하기ㅋㅋ 성공할까요?
Переглядів 170 тис.12 годин тому
한달 반 동안 만들었습니다… 배터리 제공해준 LG에너지솔루션 쿠루에게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다음번 치킨 배달은 어떻게 해볼까요?! 공모전 요강 보러가기 inside.lgensol.com/bss_contest/index_view.html# 쿠루배터리가 궁금하다면? www.kooroo.co.kr - 📗긱블 만화책 '긱블 제작소' 출간🛠️ 괴짜 천재들의 과학 공학 학습 만화! 과학 원리를 활용해 쉽고 재미있게 과학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YES24 : bit.ly/48N7Owd •교보문고 : bit.ly/3u8c6iK •영풍문고 : bit.ly/3OgiKdM •알라딘 : bit.ly/3OfOShy - 🍀 긱블 커뮤니티 👉 bit.ly/Geekble_Community 📷 긱블 인스타그램 👉...
딜러 딸의 이름을 브랜드명으로 만든 회사
Переглядів 42 тис.16 годин тому
메르세데스가 자동차 딜러의 딸의 이름이라니... 충격적! 영상에 등장하신 케로님 유튜브 링크! www.youtube.com/@jesusyoon/featured 00:00 인트로 00:17 그랑프리 레이싱 전성기 02:56 아우디의 기원 03:23 메르세데스 벤츠 이름의 기원 06:11 국뽕치사량 08:02 히틀러의 자동차 경주 관심 11:05 F1 이름의 시작 12:08 F1 규정의 시작 15:24 유명 드라이버의 등장 22:05 이벤트 - 📗긱블 만화책 '긱블 제작소' 출간🛠️ 괴짜 천재들의 과학 공학 학습 만화! 과학 원리를 활용해 쉽고 재미있게 과학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YES24 : bit.ly/48N7Owd •교보문고 : bit.ly/3u8c6iK •영풍문고 : bit.ly/3OgiK...
커뮤니티에서도 논란인 이 과학 문제, 직접 실험해봤습니다
Переглядів 65 тис.День тому
커뮤니티에서도 논란인 이 과학 문제, 직접 실험해봤습니다
메르세데스 벤츠로부터 시작된 독일 자동차 색깔의 역사적인 배경
Переглядів 48 тис.День тому
메르세데스 벤츠로부터 시작된 독일 자동차 색깔의 역사적인 배경
내연기관보다 전기차가 먼저였다는 사실을 아셨나요..? (모터스포츠의 역사)
Переглядів 91 тис.14 днів тому
내연기관보다 전기차가 먼저였다는 사실을 아셨나요..? (모터스포츠의 역사)
열심히 하겠습니다.
Переглядів 111 тис.21 день тому
열심히 하겠습니다.
보급형 RC카를 개조하면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Переглядів 176 тис.21 день тому
보급형 RC카를 개조하면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How to bond metal without heat (Cold welding)
Переглядів 90 тис.Місяць тому
How to bond metal without heat (Cold welding)
국수가 무한으로 순환하는 워터파크 만들었습니다 ㅋㅋ //소면 슬라이드 ep.2
Переглядів 103 тис.Місяць тому
국수가 무한으로 순환하는 워터파크 만들었습니다 ㅋㅋ //소면 슬라이드 ep.2
국수 먹기 위해 놀이 기구 만들었습니다 ㅋㅋㅋ //소면 슬라이드 ep.1
Переглядів 118 тис.Місяць тому
국수 먹기 위해 놀이 기구 만들었습니다 ㅋㅋㅋ //소면 슬라이드 ep.1
몰카 하려고 포크 만들었다가 회사 잘릴 뻔했습니다....
Переглядів 44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몰카 하려고 포크 만들었다가 회사 잘릴 뻔했습니다....
해외에서 난리였던 저울 문제.. 교수님과 실험해봤습니다 (생각보다 어려움)
Переглядів 1,5 млн2 місяці тому
해외에서 난리였던 저울 문제.. 교수님과 실험해봤습니다 (생각보다 어려움)
we made a automatic lamb yakitori machine
Переглядів 222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we made a automatic lamb yakitori machine
새로운 멤버와 양꼬치 기계 직접 만들기
Переглядів 62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새로운 멤버와 양꼬치 기계 직접 만들기
[월간긱블] 3D프린터로 아무도 안 고치는 벽 수리하기(유사핀볼장치)
Переглядів 64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월간긱블] 3D프린터로 아무도 안 고치는 벽 수리하기(유사핀볼장치)
Preserving the only remaining insect in the world…Hidden and off-limits space in Korea
Переглядів 591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Preserving the only remaining insect in the world…Hidden and off-limits space in Korea
Can we make a toy car as fast as 'an actual car'??
Переглядів 302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Can we make a toy car as fast as 'an actual car'??
Why are 3 million stuffed animals stored in a place where public access is prohibited?
Переглядів 263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Why are 3 million stuffed animals stored in a place where public access is prohibited?
Magical machine that makes the meat taste like cheese
Переглядів 386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Magical machine that makes the meat taste like cheese
온갖 꼼수가 난무하는 저세상 민속놀이ㅋㅋㅋㅋ (문과vs이과)
Переглядів 49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온 꼼수가 난무하는 저세상 민속놀이ㅋㅋㅋㅋ (문과vs이과)
Made a 40kg machine gun out of boredom (30 shots per sec)
Переглядів 82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Made a 40kg machine gun out of boredom (30 shots per sec)
A Korean Engineer Develops a Cold Stove for Keeping Naengmyeon Cold
Переглядів 82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A Korean Engineer Develops a Cold Stove for Keeping Naengmyeon Cold
[월간긱블] 피파로 서열 정하는 이상한 회사...
Переглядів 37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월간긱블] 피파로 서열 정하는 이상한 회사...
붕어빵을 부위별로 만들어서 장사하면 사람들이 사 먹을까?
Переглядів 372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붕어빵을 부위별로 만들어서 장사하면 사람들이 사 먹을까?
He modified the abandoned scooter... Seriously, this fast?
Переглядів 144 тис.5 місяців тому
He modified the abandoned scooter... Seriously, this fast?
Idea from a Korean high school student who won the Ig Nobel Prize... We tried to make it ourselves.
Переглядів 119 тис.5 місяців тому
Idea from a Korean high school student who won the Ig Nobel Prize... We tried to make it ourselves.
Shocking result saying Wi-Fi affects plant's growth... Is that true? We experimented
Переглядів 143 тис.5 місяців тому
Shocking result saying Wi-Fi affects plant's growth... Is that true? We experimented
다리가 불편한 사람들에게 유산소 운동의 기회를 선물한 마법의 휠체어 (CES 2024)
Переглядів 34 тис.5 місяців тому
다리가 불편한 사람들에게 유산소 운동의 기회를 선물한 마법의 휠체어 (CES 2024)
NASA puts cooling underwear on astronauts at 270 degrees above zero in the space??
Переглядів 37 тис.5 місяців тому
NASA puts cooling underwear on astronauts at 270 degrees above zero in the space??

КОМЕНТАРІ

  • @user-hn6qu9hp7c
    @user-hn6qu9hp7c 9 хвилин тому

    추가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실험에서의 결과에 대한 객관성을 부여 하려면 코일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촘촘하게 감았을 때와 촘촘하지 않게 감았을때는 자석의 이동속도가 다르면 같은 결과 값을 도출 할수 있습니다. 즉 촘촘하게 감으면 코일의 길이가 짧아져서 자석의 이동속도가 느린 것이 유리하고 코일을 촘촘하지 않게 감으면 자석의 이동속도가 빠르면 같은 크기의 유도 전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 @lifebarkghetto
    @lifebarkghetto 13 хвилин тому

    온도가 높아서 100도 가까이라면 느슨한 분자구조로인해 뭔가 차이가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했지만... 역시 해보는게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 @user-hn6qu9hp7c
    @user-hn6qu9hp7c 14 хвилин тому

    위 실험에서 두가지 부족한 것이 있습니다. 첫째는 자석의 길이고 둘째는 자석의 이동속도 입니다. 자석의 이동 속도가 실험과 같이 느릴 경우 자석의 길이와 코일의 길이가 맞지 않아 유도 가능 최대전력을 측정 할수 있는 확률이 아주 낮아 집니다. 리액턴스(유도성 또는 용량성)는 시정수라는 값이 있습니다. 따라서 시간에 대한 반응이 다른 결과를 만들게 됩니다. 만일 자석의 길이가 실험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는 자석의 이동속도를 시험에서 구성된 유도성리액턴스의 시정수를 고려하여 실험시 속도를 달리하여 최대 유도전력을 측정 해야 합니다. 코일은 유도성 리액턴스 성분을 가지고 있는 소자(코일)에 유도 되는 전압 관련 공식은 미분으로 표현 되고 자석의 세기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 유도전력을 측정 하려면 자력이 강한 자석보다는 이동속도와 코일의 길이를 자석의 길이와 맞게 맞추어야 정확한 실험이 가능합니다.(공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코일의 길이와 자석의 길이가 동일하면 임피던스가 매칭 되었다고 합니다.)

  • @s_w_bin
    @s_w_bin 16 хвилин тому

    에잇 뭐야 광고였네

  • @user-ht3ho8yz6w
    @user-ht3ho8yz6w 31 хвилина тому

    근데 진심 과학이랑 뭔 상관이에요?

  • @user-hh3il6gf4l
    @user-hh3il6gf4l 37 хвилин тому

    느린 속도로 보니 눈깜빡임 순간에 모터가 역회전 하네요. 부하가 일정할때에는 뒤로갈수록 지수적 증가가 맞지만(이걸 토대로 데이터를 유추), 기어를 하나 추가 할때마다 부하가 달라지므로, 이에 따른 모터 구동속도가 느려지며, 결국 최외곽 속도는 어느 한계 이상 빨라지지 않을 것 같네요. 따라서 기어를 하나 추가할때마다 해당 속도를 다시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추를 한다면 더 훌륭한 분석과 예측이 될 것 같습니다.

  • @taiji_boy
    @taiji_boy 43 хвилини тому

    결론, 빛의 속도 못갑니다!!! 이론이 잘 못 되었습니다.

  • @coled9566
    @coled9566 Годину тому

    소닉붐이 안일어나네요. 작아서 그런가

  • @user-p7pa8s64sr1eg
    @user-p7pa8s64sr1eg Годину тому

    13:18 뇌가 있어야만 기억을 할 수 있냐라니... 진짜 얼마나 인간 중심인 질문이었는지를 보여주는 답변인듯

  • @hectorkim613
    @hectorkim613 Годину тому

    처음 기어에서 기어의 큰 지름 부분이 작은 지름으로 이동(물려서 회전) 되면서 속도를 2배를 높이고 옆쪽에 큰 기어로 의 속도가 2배속이 된 값이 작은 기어로쪽으로 물리면서 속도가 또 2배 늘어나게 보이네요. 이 원리로 X의 n 승의 제곱으로 속도가 늘어난 것이 아닐까요 ? n은 기어의 숫자, x 는 속도의 초기값. (기어 하나에서 작은 기어의 지름이 큰 기어의 지름에 두배라고 생각하고 2배속이 된다고 가정한 것입니다.) 근데 이 실험은 진짜 조심하셔야 할 듯요. 기어가 버틸수 있는 임계치를 벗어나서 부러지거나 튀어나가면 엄청난 속도에 튀어나간 파편의 무게와 합쳐져서 총알로 변신 할 듯요.

  • @user-lj1ky8ni8m
    @user-lj1ky8ni8m Годину тому

    3200년에도 보는 사람?

  • @user-zw2bk3ns6d
    @user-zw2bk3ns6d Годину тому

    와 그럼 우주에서 저런 발사체를 만들어서 우주선을 쏴버리면 보이저호 금방 따라잡겠네요?

  • @user-lm5uf2qb5v
    @user-lm5uf2qb5v Годину тому

    빛의 속도 = 광속

  • @yanggafg
    @yanggafg Годину тому

    긱블 대규모 구조조정 ㄷㄷ

  • @yonghu1292
    @yonghu1292 2 години тому

    아무리 강한 모터라도 빛의 속도까지 낼수는 없음 원자력 발전소 수억개가 필요 할거임

  • @user-sm8wv5ue1b
    @user-sm8wv5ue1b 2 години тому

    저 실험데이타를 믿을 수 없다. 19번째 기어 속도가 14757/s라고 하는데, 내 눈에 19번째 기어 돌아가는게 너무 잘 보인다. 일반 마술사의 손이 눈보다 빠르다는데? 19번째 기어는 굼벵이속도로 보인다.

  • @mmincute
    @mmincute 2 години тому

    아우디 콰트로가 쩔기는 해…ㅋㅋㅋ

  • @jayjoonprod
    @jayjoonprod 2 години тому

    외골격을 3d프린터로 뽑았나봄. 내가보기에 저거 디자인한 친구가 제일 대단함... 직접 모델링한게 아니더라도 쉽지 않은 수준인데 진짜 대단해

  • @cjmckillem
    @cjmckillem 2 години тому

    덩치키우려다 망해가고있는거같아요

  • @dinos534
    @dinos534 2 години тому

    이번 실험은 너무 위험했네요.. 총알보다 훨씬 빠른속도면 저런 보호구정도는 그냥 관통해서 머리통을 날려버릴듯.. 별도 공간에 카메라 설치해서 원격으로 실험을 진행하셔야할 것같네요

  • @user-kl3nd5du4p
    @user-kl3nd5du4p 2 години тому

    테이블에 빵이없다니..............큰실수입니다 이건~!

  • @maahnii6555
    @maahnii6555 2 години тому

    기어의 짧은 면의 길이(radius)를 x 라고 놓고, 긴면의 길이를 a*x, 기어 1 (첫번째 기어)이 도는 각속도를 w1 로 정의를 우선 합니다. 기어 1이 한바퀴 다 돌았을때 긴 면에서 tangential velocity 가 a*x*w1 일때 기어 2에서 짧은 면의 tangential velocity 가 x*w2 가 됩니다. 여기서 두 기어의 접속도가 같기 때문에 a*x*w1=x*w2 가 성립됩니다. 여기서 w2 를 구하면 w2 = a*w1 를 얻을수 있습니다. 다음에 기어 2가 한바퀴 다 돌았을때 tangential velocity 는 a*x*w2 일때 기어 3의 tangential velocity 는 a*w3 이고, 여기서 w3 를 구하면 w3=a*w2=a^2*w1 이 됩니다. 이걸 확장하면 n 번째 기어의 각속도 wn 를 w1에 대한 함수로 구할수 있는데 wn = a^(n-1)*w1 를 얻을수 있습니다. 종이에 수식으로 쓰면 간단한데 말로 풀어서 적으니 뭔가 복잡해지네요. 😅

  • @user-yh3mo1qc2y
    @user-yh3mo1qc2y 2 години тому

    벌거아닌데요 그냥 기어모양을 돌아갈때 축이 길어지도록 설계된거니까 지렛대와 유사한원리입니다 즉 지렛대 짧은쪽을 움직이면 긴쪽은 빠르게 움직이는데 그빠르게움직이는 쪽에 또지렛대를 짧은쪽붙여놓으면 그반대쪽은 더빠르게 움직이고 그런식으로 지렛대 10개쯤연결하면 엄청난속도로 움직이죠 하지만 그리되면 최초지렛대는 엄청나게 강한힘으로 눌러야하죠 모양이좀특이할뿐이지 특별이 신기한기술은아니에요

  • @Prove-mx5rx
    @Prove-mx5rx 3 години тому

    자동차 기어 파킹 땡기고 보러 왔습니다

  • @user-se5jo8ty6o
    @user-se5jo8ty6o 3 години тому

    주.작임 궁금해서 해봤더니 저러지않음 그냥 지어낸 영상임 해..머로 내리쳐도 가만있음 현실은 영상이랑 다르게

  • @user-qd4wf2tt4o
    @user-qd4wf2tt4o 3 години тому

    '빛의 속도로 차여본 적 있나'

  • @crufus
    @crufus 3 години тому

    채찍처럼 끝단으로 갈수록 기어의 크기가 작아지면 어떻게 됨?

  • @lozytiger9361
    @lozytiger9361 3 години тому

    애석하게도 경영악화 기사를 보고 왔습니다. 스타트업 투자 축소영향도 있어보입니다. 비상경영을 통해 다시한번 위기를 기회로 도약을 기원합니다.

  • @bestline0613
    @bestline0613 3 години тому

    중력을 미치니 아니지

  • @bestline0613
    @bestline0613 3 години тому

    당연한것을 ㅎㅎ

  • @little96
    @little96 3 години тому

    7:00 나만 위험해보임? 금속파편 잘못 튀면 치명적일거 같은데 안전장치도 없이 하는 거 보고 의아했음 중간에 실제로 파츠도 떨어져나갔고..

  • @user-tx3pe1zr6m
    @user-tx3pe1zr6m 3 години тому

    굉장한 집념과 노력입니다만, 그정도의 노력을 하면서 결과 값에 대한 분석적 접근은 너무 허접합니다. 광속을 돌파할 거라는 사고실험은 말이 안됩니다. 심지어 음속을 돌파했다는 것도 잘못된... 빅테이터는 정보가 많아야 합니다. 저건 그냥 엑셀에도 있는 예측치 분석수준도 못 벗어난.... 이런 이야기 죄송하지만 문과생도 아는 겁니다. 좀 만들고, 주문하는 시간만큼 더 생각하고 찾아보고 유튜브 하세요. 검증되지 못한 말들도 좀 조심히 하시고 생각 없는 좀비 머저리들 여러명 바보 됩니다.ㅎㅎ

  • @user-70707
    @user-70707 3 години тому

    광속까지 가는 건 이론(상대성이론)상으론 불가능한데 그래도 궁금하네요.

  • @meathrow
    @meathrow 4 години тому

    한국의 Mark Rober

  • @user-bn8op6jy1w
    @user-bn8op6jy1w 4 години тому

    질문이 있는데요. 태양의 표면온도가 6000도 정도 되잖아요. 태양에서 지구까지 태양빛이 오는 속도가 8분28초 걸리는데 태양빛의 표면온도 6000K도가 8분28초만에 지구상의 상온(현재기온=10도~30도)까지 식는 다는게 가능한 일일까요? 우주공간은 지구 대기권을 제외하고는 무중력 상태라 무저항일것 같은데...

  • @donghokkang
    @donghokkang 4 години тому

    초기 3D 프린터 제품은 이후 테스트했던것들과 처음 기어 회전 방향이 반대로 셋팅된것 같은데 이것도 영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TV-lf9nr
    @TV-lf9nr 4 години тому

    구조조정은 잘 되고 있나요?

  • @HoneyTteok
    @HoneyTteok 4 години тому

    아 물리엔진 버그났네

  • @P0LICELEE
    @P0LICELEE 5 годин тому

    영상 보기전임. 아마도 이론상은 가능하지만 물체의 내구성이 버티질 못할듯. 대부분 물리 현상이 이론상으론 빛의 속도까지 갈 수 있지만 그걸 버티는 물체가 없어서 구현이 안되지.

    • @P0LICELEE
      @P0LICELEE 5 годин тому

      영상 본 후: 돌리는 모터 힘이 부족해서 실패. 내구성까지 가기 이전에 장치를 돌릴 힘이 부족해졌네

  • @conals2
    @conals2 5 годин тому

    보호장비 껴야할듯

  • @chrisysk91
    @chrisysk91 5 годин тому

    2070년: 태양 에너지를 추출하는 다이슨 스피어, 3D 프린트 가능할까?

  • @정다솜-g1q
    @정다솜-g1q 6 годин тому

    ....

  • @Shilgisa
    @Shilgisa 6 годин тому

    베어링 안들어간다고 망치로 막 내리치다가 베어링 망가져요.. 그럴땐 샤프트를 냉동실에 넣어서 열수축 시키고 넣으면 그나마 수월하게 들어갑니다

  • @butterfingersfpv2002
    @butterfingersfpv2002 6 годин тому

    기어의 숫자기 많아지면 속도는 빨라지지만 그만큼 모터의 힘도 올라가야하는거 아닌가요 결국 우주선을 빛에 속도에 도달하게 하려면 빛에속도 까지 가속할수있는 엔진만 있으면 되긴함 ㅋ

  • @epidemic_
    @epidemic_ 6 годин тому

    3개에 천원하면 마리당 천원인꼴임? 개비ㅆ...

  • @user-yg1kw6xv4q
    @user-yg1kw6xv4q 7 годин тому

    1만년 톱니바퀴의 역순

  • @ho2dul2
    @ho2dul2 7 годин тому

    기사 보고왔습니다. 경영악화 ㅜㅜ 화이팅입니다.. 미디어팀에는 누가 누가 남으실지 ㅠㅠ

  • @moonlight-0115-moonlight
    @moonlight-0115-moonlight 8 годин тому

    배틀봇 출전해보세요 ㅎㅎ

  • @user-yx7if1sg7f
    @user-yx7if1sg7f 8 годин тому

    1. 우선 인류가 확정한 이론상 빛의 속도에 도달하려면 질량이 0이어야됨 2. 마찰, 저항계수에 대한 개념이 전혀 없음 3. 저능아 타겟 영상 4. ㅅㄱ

  • @user-nv8kf9bj1y
    @user-nv8kf9bj1y 8 годин тому

    눈에 보이는데 음속을 넘는다고?